방아타령

구대감.김옥엽


방아타령은 선소리 산타령의 것이 있고 토속민요나 각 지방에서 전승되는 민요가 두루 불리운다.
사설에서는 드나듦이 있으나 선소리 산타령의 경우에는 산타령을 다 부르고 나서 뒤를 대어 부르는 입창이고 서도소리에서는 곡조가 다르다.
방아타령은 말 그대로 일 하면서 부르는 농요, 민요로 짜여진 “경복궁 타령”과 같이 된 것도 있다.
사설 방아 타령, 자진 방아 타령도 음악적 구성은 그다지 다르지는 않으나 지방마다 전해오는 양식이 조금 달라서 또한 말 붙이는 것에 따라서 다르기도 하다.
민요의 분포 지역과 지역적 경계 지역과는 어느 정도 들어맞는 것이 상례인데 이 경우에는 주로 경서도 소리이기 때문에 형태가 비슷하다.
이 방아타령은 현재 경기도 동북부나 서북부 지역에서 농요로 전승되는데 서북부 지역의 방아타령이 유사하다.

노래 : 구대감.김옥엽
원반 : Victor KJ-1074-A
녹음 : 1936. 3. 3

에로 좋구나
오초동남 너른 물에
오고가는 상고선은
순풍에다 돛을 달고
북을 두리둥실 울리면서
어기여차 닻 감는 소리
원포귀범이
에헤라 에헤야 이 아니란 말가
에헤에야~
에헤라 우겨라 방애로구나

너는 누구냐 나는 누구냐
황송의 방애로
에야 조자룡이라
노다~ 좋구나
청천에 완보를 허여
박석티를 얼른 지내
남원지경 당도허니
백사청청유색시는
내 낭군 노던 데요
어촌당락 너른 뜰은
운림 간 데가 신작로라
광한루야 잘 있느냐
오작교야 네가 널 무사더냐
에헤에헤야~
에아라 우겨라 방애라
벽상에 걸린 글씨
뉘 글씨이지 따로 썼다

관련 가사

가수 노래제목  
방아타령 김계선(대금).지용구(양금)  
구대감.김옥엽 자진 방아타령  
구대감.김옥엽 개타령  
구대감.김옥엽 풍년가  
구대감.김옥엽 삼부자 타령  
구대감.김옥엽 도화타령  
구대감.김옥엽 출인가(2)  
구대감.김옥엽 출인가(1)  
김영임 방아타령  
민요 방아타령  




가사 수정 / 삭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